주식시장에 투자할 때 다양한 용어들이 등장해서 배워서 알아가야 할 것들이 많습니다. 주식에 투자할 때 등장하는 MDD라는 용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MDD란 최대하락비율을 뜻한다. 영어로 Maximum Draw Down의 약자이다. 내가 어떠한 종목에 투자하였을 때 투자한 종목이 특정한 기간 내에 최고점에 대비하여 몇% 하락하여 내려갔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특정한 기간 동안 주가의 최고점과 최저점의 값을 비율로 계산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어떤 종목이 고점 대비 몇 퍼센트 하락하였다와 같은 내용이 많이 나오는데 그 고점 대비 하락한 비율이 MDD인 것이다.
MDD가 높다는 것은 주가가 고점 대비 많이 하락한 것으로 주가의 변동성이 심하다고 볼 수 있고, MDD가 낮다는 것이 주가가 일정해 변동성이 적다고 볼 수 있다.
MDD를 구하려면 기간 내 최저점의 가격에서 기간 내 최고점의 가격을 뺀 다음 그것을 기간 내 최고점의 가격으로 나눈 다음 100을 곱하여 퍼센트를 구할 수 있다.
MDD=(기간 내 최저점-기간 내 최고점)/기간 내 최고점 × 100
MDD를 알면 관심 있거나 투자하는 종목이 고점과 비교하여 몇 퍼센트 하락하였는지 알아보면서 MDD비율에 따라 투자를 계속할지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투자 전력을 세워나갈 수 있는 것이다. 고점 대비 얼마나 하락하였느지 살펴보고 앞으로 주가가 오를 것 같으면 매수를 하거나 고점에 대비하여 많이 하락하였다면 하락한 원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그에 맞게 투자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있는 지표가 MDD라 할 수 있다.
어떤 종목이 앞으로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전망이 밝고 실적도 좋은 편인데 고점에 대비하여 많이 하락하였다면 추가로 그 종목에 대한 매수를 고려할 수 있다. 그렇지만 고점과 대비하여 많이 하락한 원인이 실적이 부진하거나 기업 내 다른 문제가 생긴 것이라면 고점과 비교하여 주가가 많이 하락한 상태라도 추가 매수는 하지 않거나 신중히 생각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자사주 매입 뜻, 효과? (0) | 2021.12.12 |
---|---|
해외주식 거래시간- 미국, 캐나다, 영국, 독일 (0) | 2021.12.11 |
선물 옵션 만기일? (0) | 2021.11.11 |
달러현찰, 전신환이란?전신환 송금?전신환 매입률? 전신환 매도율? (0) | 2021.11.02 |
환율 스프레드란? 환전 수수료? 계산 ? 환전 수수료 우대? (0) | 2021.11.01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