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리플리 증후군 뜻? 리플리 증후군이란? 허언증?

상식

by nana나나 2020. 12. 10. 00:41

본문

728x90
반응형

리플리 증후군 뜻? 리플리 증후군이란? 유래, 원인, 증상?허언증?

리플리 증후군이란?

자신이 처한 현실을 부정하고 자신이 만들어 놓은 허구를 진실이라고 믿고 거짓말과 거짓된 행동을 반복하는 반사회적 인격 장애를 말한다. 자신이 만든 상상 속 허구를 진실이라고 믿는 심리적 장애인 것이다. 의학 용어로 리플리 증후군을 공상허언증이라고 하고 정신과적으로 일종의 망상장애라 할 수 있다.  자신의 머릿속에서 상상하는 거짓 세계를 스스로도 사실이라고 믿고 있는 증상이다. 이러한 증상을 가진 사람들은 흔히 자신이 부족한 점에 대한 콤플렉스에서 거짓말이 시작된다. 거짓으로 다른 사람의 신분을 사칭하고 그 거짓말에서 스스로 위안을 느끼게 되고, 점점 실제 사실과 자신의 거짓말의 차이를 인식하지 못하게 된다.

 

허언증이란?

리플리 증후군과 비슷한 행동을 하는 것을 의학용어로 허언증 또는 공상허언증이라 한다. 자신이 만들어 놓은 거짓말을 사실이라고 믿는 정신적 증후군인 것이다. 사실이 아닌 것을 사실이라고 확신을 갖고 말하거나 자신에게 일어났던 일을 왜곡하여 말하는 것이다.  단순하게 허풍을 떨고, 과장을 심하게 하는 것과 달리 허언증은 자신이 왜곡하여 말한 사실을 스스로 진실이라고 믿는 것이다. 자신이 한 거짓말을 실제로 믿게 되기 때문에 죄책감을 느끼지 못한다. 허언증 환자가 거짓말을 하면 스스로 진실이라고 믿기에 거짓말 탐지기에도 아무런 신호가 잡히지 않는다고 한다. 그래서 단순히 거짓말을 반복하는 경우와 차이가 있다. 병적인 허언 증상과 실제로 체험하지 않은 것을 사실로 믿는 것을 공상 허언증이라 할 수 있고, 이것이 사기병과 결부되어 있다면 뮌하우젠 증후군이라고 부른다. 허언증의 특징은 상상으로 지어낸 이야기가 실감 나고 사실적이다. 자신이 원하는 이상적 삶을 그리고 사회적으로 유명한 인사들과 가까운 사이인 것을 드러내고 재산이 많거나 지위가 높고 권력이 있는 사람인 것을 자랑한다. 

 

리플리 증후군 유래?

리플리 증후군이라는 용어는 미국의 소설가 패트리샤 하이스미스가 1955년 발표한 재능 있는 리플리 씨라는 소설 속 인물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패트리샤 하이스미스의 소설 속 인물인 톰 리플리는 머리는 좋지만, 야망이 높고, 도덕관념이 부족하고 폭력성도 가진 청년이다. 그는 호텔 종업원으로 가난하게 살다가 우연히 알게 된 재벌 2세이고 사교계 명사인 친구 디키 그린리프를 살해하고 완벽하게 그 친구 행세를 하면서 그의 신분으로 인생을 즐기게 된다. 그러나 그의 범죄는 그린리프의 시체가 발견되면서 드러나게 된다. 이 소설이 인기를 끌면서 소설 속 인물인 리플리와 같은 정신과적 증상에 관심이 생기며 리플리 증후군이라는 이름이 생기에 되었다.

 

이 소설은 1960년 프랑스의 르네 클레망 감독과 배우 알랭 들롱이 주연을 맡은 태양은 가득히란 영화로 만들어졌다. 그리고 1999년 맷 데이먼과 기네스 펠트로 주연의 리플리라는 영화도 만들어졌고, 한국에서 미스 리플리라는 드라마로도 만들어졌다.

 

리플리 증후군 원인?

리플리 증후군은 심리적 장애로 정확한 원인은 규명되지 않았다고 한다. 리플리 증후군은 원하는 이상이 높고 욕망이 강하지만 무능력한 사람이 원하는 것을 현실에서 이룰 수 없을 때 주로 발생한다. 원하는 이상과 현실이 달라 피해의식과 열등감에 시달리다 반복적으로 거짓말을 상습적으로 하게 되면서 스스로 한 거짓말을 진실로 믿고 실제처럼 행동하게 된다고 한다. 또한 자신의 현실을 부정하고 싶고 욕망이 많을 때 타인의 삶에 대해 동경하고 과도하게 집착할 때나 인지부조화를 해결하기 방법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고 한다. 

 

리플리 증후군 증상?

 자신의 세계가 완벽하고 이상이 높고 욕망이 강하고, 자신의 거짓말이 들키면 화를 내고 거짓말에 대한 죄책감이 없게 된다. 평소에 붕 떠 있는 듯한 느낌이 들고 말의 앞뒤가 맞지 않는다. 자신의 말에 토를 달거나 반박하면 화를 낸다. 충동적인 행동을 하기도 하고, 난독증이나 감정조절 장애와 같은 뇌기능 장애가 수반될 수 있다고 한다.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